랜덤게시물 단축키 : [F2]유머랜덤 [F4]공포랜덤 [F8]전체랜덤 [F9]찐한짤랜덤

역사

상처투성이 불교 그림 어떻게 되살렸을까?

친절한석이2021.04.09 05:53조회 수 432추천 수 2댓글 5

  • 8
    • 글자 크기











‘상처투성이’ 불화(佛畵), 어떻게 되살렸을까? / KBS 2021.04.08.

https://youtu.be/SoIy5lMUXoo


300년 세월을 거치면서 상처투성이로 변한 18세기 불교 그림 두 점이 

정교한 복원 작업 끝에 옛 모습을 되찾았습니다.

벽에 걸지도 못할 정도로 손상이 심했다는데, 어떻게 되살려 냈을까요?

[리포트]

18세기 초에 그려진 송광사 오십삼불도.

53명의 부처를 묘사한 그림 7점 가운데 '칠불도'입니다.

당시 그림 그리는 승려로 유명했던 의겸스님이 주도하고, 송광사 승려들이 대거 참여해 그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8세기 불화의 제작 특징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인 이 유물.

불과 1년 전까지만 해도 상처투성이였습니다.

1970년대에 엉터리로 보수해 안료는 잘못 칠해졌고, 앞뒤로 붙인 합판에서 유해가스가 나와 손상을 가속한 겁니다.

보존 처리 끝에 마구잡이로 덧댄 직물과 안료를 벗겨내고,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박지선/용인대 문화재학과 교수 : "똑같은 재질을 찾는 데 굉장히 애를 썼고요 

그런 다음에 한올 한올 없어진 부분을 메워내는 데도 메움 작업하는 것도 쉽지 않았습니다."]

부처의 법도를 따르는 신들을 형상화한 18세기 말 불교 그림 '제석천룡도'는 상처가 더 깊었습니다.

곳곳이 꺾이고 갈라져 조각과 안료들이 떨어져 나갔고, 인물들의 형체조차 알아보기 힘들 정도였습니다.

[박지선/용인대 문화재학과 교수 : "족자임에도 불구하고 걸 수가 없을 정도로 손상이 심했습니다. 

제가 40년 동안 보존 처리했는데 본 중에 가장 심한 그림이었어요."]

하지만 보존 과정을 거치면서 정교한 선으로 표현된 얼굴과 금속 장식이 또렷하게 되살아났습니다.

문화재로 지정이 안 돼 있어 관심 밖에 놓인 채 소외돼 온 유물들입니다.

[탄탄스님/불교중앙박물관 관장 : "모두 국보나 보물에 준하는 높은 가치가 있음에도 

당시 보존 상태는 매우 열악한 상태였습니다. 

/멸실 직전의 모진 위기에서 벗어나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였습니다."]

세심한 복원 작업을 통해 옛 모습을 되찾은 조선 불화 두 점은 이제 원래의 자리, 송광사와 쌍계사로 돌아갑니다.



친절한석이 (비회원)
  • 8
    • 글자 크기
그 누구도 반박 못한다는 한반도 역사상 최악의 세대 (by 티끌모아티끌) 세계대전 후 프랑스 만행 (by 도네이션)
댓글 5

댓글 달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696 역사 부하를 대머리라고 놀렸던 오다 노부나가2 title: 메딕셱스피어 434 0
695 자연 우리나라에서 한 해에 20만 마리씩 죽어 나가는 동물5 Agnet 433 2
694 역사 다시 오지 않을 게임계의 98년2 한마루 433 3
693 역사 인류 역사상 가장 부자였던 사람3 짬뽕왕뚜껑1 433 2
692 자연 악어 쉽게 잡는법.4 etoile 433 3
691 기계 포르쉐 전기차 옵션질 근황2 title: 메딕제임스오디 433 1
690 역사 그 누구도 반박 못한다는 한반도 역사상 최악의 세대2 title: 고양이3티끌모아티끌 433 1
역사 상처투성이 불교 그림 어떻게 되살렸을까?5 친절한석이 432 2
688 역사 세계대전 후 프랑스 만행7 도네이션 432 1
687 역사 스타크래프트 역사상 오피셜로 인정받는 명소5 프로츠 432 4
686 역사 그 때 그 시절.. 2001년 부천역 거리 모습3 title: 아이돌미션임파선염 432 1
685 과학 선박 연료 절감 기술.gif5 Imgur 431 3
684 자연 오리너구리 새끼 .JPGIF6 샌프란시스코 431 2
683 역사 *1959년 옛날 문학 서적.JPG3 prisen 430 1
682 역사 신라 시대 비석들의 발견 일화3 title: 다이아10개나의라임오지는나무 429 0
681 역사 1940년대 미국 모델.jpg3 Xaitae 429 2
680 역사 1972년 추억의 서울 모습들3 Z9소년 428 0
679 역사 조선시대 한 남자의 복수극2 도네이션 428 2
678 과학 요즘 나무 자르는 기술2 jinrhee 427 0
677 자연 먹고사는데 아무 걱정 없는 동물.gif2 휙휙 427 2
첨부 (8)
52626116179144280.jpg
312.8KB / Download 6
52626116179144281.jpg
271.8KB / Download 6
52626116179144282.jpg
275.5KB / Download 5
52626116179144283.jpg
282.0KB / Download 7
52626116179144284.jpg
206.6KB / Download 5
52626116179144285.jpg
287.4KB / Download 9
52626116179144286.jpg
310.1KB / Download 5
52626116179144287.jpg
278.1KB / Download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