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덤게시물 단축키 : [F2]유머랜덤 [F4]공포랜덤 [F8]전체랜덤 [F9]찐한짤랜덤

우주

태양보다 12배 큰 블랙홀

afrika2015.11.12 14:17조회 수 780추천 수 3댓글 3

  • 2
    • 글자 크기


SSI_20151112133650_V.jpg ▲ 블랙홀(가운데) 주위의 강착원반과 강착 원반에 수직 방향으로 분출되는 제트의 모식도.

출처: 나사/JPL












블랙홀은 이름처럼 빛까지 모두 흡수해서 검은 구멍처럼 보이는 천체이다. 하지만 사실 과학자들은 블랙홀의 존재를 강력한 에너지와 물질 방출을 통해서 찾아낸다. 역설적이지만, 블랙홀은 우주에서 가장 밝은 천체 가운데 하나이다. 블랙홀 자체는 빛을 내지 않지만,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 물질이 빛과 에너지를 내놓기 때문이다.

블랙홀의 강력한 중력에 이끌린 가스와 먼지는 바로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소용돌이치면서 블랙홀 주변에 강착원반(Accretion disc)이라는 물질의 흐름을 만든다. 이 강착원반은 블랙홀의 강한 중력으로 인해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마찰로 매우 뜨겁게 빛난다.  



하지만 이 강착원반의 물질도 모두 블랙홀로 흡수되는 것은 아니다. 상당수 물질은 작은 입자로 갈린 후 제트라는 수직축의 물질 분사를 통해 다시 나오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블랙홀은 역설적으로 밝게 빛나게 된다. 그것도 섭씨 수백 만도의 고온에서 나오는 X선 같은 고에너지 파장에서 아주 밝게 빛난다. 


물론 이런 현상은 흡수할 물질이 주변에 있을 때만 나타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은하 중심의 거대 질량 블랙홀은 많은 물질을 흡수해서 강력한 에너지를 방출한다. 초신성 폭발 후 만들어진 항성 질량 블랙홀의 경우 단독으로 있을 때는 존재를 찾기 어렵지만, 만약 동반성이 있는 경우 동반성에서 질량을 흡수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기 때문에 그 존재를 찾을 수 있다.


1989년 발견된 V404 Cygni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이 블랙홀은 태양 질량의 12배 정도 크기이며 태양보다 작은 동반성에서 물질을 흡수하고 있다. 그런데 흥미로운 사실은 항상 같은 양의 에너지를 방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첫 발견 이후 이 블랙홀은 갑자기 밝기가 감소해 최근까지 별로 밝지 않은 블랙홀로 남아있었다.


SSI_20151112134204_V.jpg ▲ 동반성에서 물질을 흡수하는 항성 질량 블랙홀의 개념도.

출처: 나사/JPL



그런데 2015년 6월, 이 블랙홀이 26년 만에 갑자기 100배 이상 밝아졌다. 나사의 페르미, 스위프트 위성은 물론 유럽 우주국의 인테그럴 위성까지 이 블랙홀을 X선, 감마선 영역에서 관측했고, 지상의 수많은 전파 망원경과 광학 망원경 역시 다른 파장대에서 이 블랙홀을 관측했다. 

왜냐하면, 동반성을 거느린 항성 질량 블랙홀 (전문적인 용어로는 저질량 X선 쌍성계, low mass X-ray binaries (LMXBs))이 수십 년에 한 번 밝아지는 현상을 관측할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이다. 

천문학자들은 과거 기록을 조사해서 사실은 1938년과 1956년에도 사실은 이 블랙홀이 밝아져서 관측이 가능했던 적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당시엔 그냥 신성(Nova) 정도로 생각했고 블랙홀이라는 사실은 몰랐다.

왜 이 블랙홀이 수십 년 주기로 밝게 빛나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이 블랙홀은 2015년 밤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X선 천체 중 하나였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가능한 모든 관측기기를 통해서 이 블랙홀을 관측했다. 수십 년에 한 번뿐인 기회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존재가 알려진 블랙홀 가운데 V404 Cygni가 지구에서 세 번째로 가까운 위치에 있다. 따라서 관측 가능한 거리에 있는 블랙홀의 활동을 포착한 드문 기회였던 셈이다. 

과학자들은 이 블랙홀 주변에서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나오는 제트의 존재를 확인했다. 물질을 공급하는 동반성은 6.5일을 주기로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블랙홀 주변을 공전하고 있는데, 이미 많은 질량을 블랙홀로부터 빼앗긴 상태로 보인다.

참고로 동반성 주변에 과거 지구 같은 행성이 있더라도 영화 '인터스텔라'처럼 사람이 생존할 수 있는 행성은 더는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초신성 폭발에서 요행 살아남았다 해도 이후에는 블랙홀의 중력에 의해 빨려 들어가는 운명을 피할 길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이 행성의 잔해들이 블랙홀로 빨려 들어간다면 마지막 순간에는 영화처럼 시간이 느려지는 순간을 경험했을 것이다.

비록 영화처럼 초자연적인 존재는 아니지만, 블랙홀은 분명히 실제로 존재하는 천체이고 우리 은하에도 여럿 존재한다. 과학자들은 이번 관측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해서 새로운 사실을 대거 발견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2
    • 글자 크기
댓글 3

댓글 달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1076 자동차 30년만에 바꾼다는 기아차 엠블럼.jpg5 유머봇 252 1
1075 역사 70년대 국군의날 퍼레이드3 유머봇 229 2
1074 역사 [스압] 과학실험까지 해야 했던 90년대 여름방학.jpg2 유머봇 214 1
1073 과학 마스 2020 발사 미션 프로필 (현지시간 30일)3 유머봇 228 1
1072 IT 러시아에서 LG의 위상3 유머봇 233 2
1071 기계 건설로봇 : "여긴 못짓겠는데요"3 유머봇 288 2
1070 역사 차범근이 휘저어놓는 바이에른 뮌헨 수비진.gif3 유머봇 345 4
1069 우주 한국이 핵심부품 제작... 인공태양 프로젝트3 title: 메딕제임스오디 278 1
1068 자연 티라노사우루스 새끼 최근 복원 모습2 도네이션 475 2
1067 자연 코알라의 진실4 도네이션 374 1
1066 역사 사회주의 락원을 먹여 살린 자본주의제 통조림3 하이타 440 1
1065 역사 일본이 수백년동안 눈독들였던 우리나라 문화재3 하이타 608 1
1064 역사 역사가 매우 허무하다는걸 보여준 사건 숭례문 방화 전소 사건4 하이타 350 1
1063 역사 아일랜드 대기근 당시 영국의 만행4 하이타 421 2
1062 역사 731 부대 외국반응6 하이타 716 4
1061 역사 우리나라에서 보물로 지정된 일본도3 하이타 763 2
1060 우주 중국의 차기 달 탐사 및 소행성 탐사미션2 유머봇 209 1
1059 과학 중국 로켓 실패 사건2 유머봇 240 2
1058 과학 과학자들의 과거와 현재2 유머봇 220 2
1057 기계 미국에서 전투기 기술이전을 거부하자 한국에서 벌어진 일.jpg2 유머봇 211 1
첨부 (2)
SSI_20151112133650_V.jpg
104.3KB / Download 5
SSI_20151112134204_V.jpg
90.9KB / Download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