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덤게시물 단축키 : [F2]유머랜덤 [F4]공포랜덤 [F8]전체랜덤 [F9]찐한짤랜덤

우주

태양보다 12배 큰 블랙홀

afrika2015.11.12 14:17조회 수 780추천 수 3댓글 3

  • 2
    • 글자 크기


SSI_20151112133650_V.jpg ▲ 블랙홀(가운데) 주위의 강착원반과 강착 원반에 수직 방향으로 분출되는 제트의 모식도.

출처: 나사/JPL












블랙홀은 이름처럼 빛까지 모두 흡수해서 검은 구멍처럼 보이는 천체이다. 하지만 사실 과학자들은 블랙홀의 존재를 강력한 에너지와 물질 방출을 통해서 찾아낸다. 역설적이지만, 블랙홀은 우주에서 가장 밝은 천체 가운데 하나이다. 블랙홀 자체는 빛을 내지 않지만,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 물질이 빛과 에너지를 내놓기 때문이다.

블랙홀의 강력한 중력에 이끌린 가스와 먼지는 바로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소용돌이치면서 블랙홀 주변에 강착원반(Accretion disc)이라는 물질의 흐름을 만든다. 이 강착원반은 블랙홀의 강한 중력으로 인해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마찰로 매우 뜨겁게 빛난다.  



하지만 이 강착원반의 물질도 모두 블랙홀로 흡수되는 것은 아니다. 상당수 물질은 작은 입자로 갈린 후 제트라는 수직축의 물질 분사를 통해 다시 나오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블랙홀은 역설적으로 밝게 빛나게 된다. 그것도 섭씨 수백 만도의 고온에서 나오는 X선 같은 고에너지 파장에서 아주 밝게 빛난다. 


물론 이런 현상은 흡수할 물질이 주변에 있을 때만 나타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은하 중심의 거대 질량 블랙홀은 많은 물질을 흡수해서 강력한 에너지를 방출한다. 초신성 폭발 후 만들어진 항성 질량 블랙홀의 경우 단독으로 있을 때는 존재를 찾기 어렵지만, 만약 동반성이 있는 경우 동반성에서 질량을 흡수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기 때문에 그 존재를 찾을 수 있다.


1989년 발견된 V404 Cygni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이 블랙홀은 태양 질량의 12배 정도 크기이며 태양보다 작은 동반성에서 물질을 흡수하고 있다. 그런데 흥미로운 사실은 항상 같은 양의 에너지를 방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첫 발견 이후 이 블랙홀은 갑자기 밝기가 감소해 최근까지 별로 밝지 않은 블랙홀로 남아있었다.


SSI_20151112134204_V.jpg ▲ 동반성에서 물질을 흡수하는 항성 질량 블랙홀의 개념도.

출처: 나사/JPL



그런데 2015년 6월, 이 블랙홀이 26년 만에 갑자기 100배 이상 밝아졌다. 나사의 페르미, 스위프트 위성은 물론 유럽 우주국의 인테그럴 위성까지 이 블랙홀을 X선, 감마선 영역에서 관측했고, 지상의 수많은 전파 망원경과 광학 망원경 역시 다른 파장대에서 이 블랙홀을 관측했다. 

왜냐하면, 동반성을 거느린 항성 질량 블랙홀 (전문적인 용어로는 저질량 X선 쌍성계, low mass X-ray binaries (LMXBs))이 수십 년에 한 번 밝아지는 현상을 관측할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이다. 

천문학자들은 과거 기록을 조사해서 사실은 1938년과 1956년에도 사실은 이 블랙홀이 밝아져서 관측이 가능했던 적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당시엔 그냥 신성(Nova) 정도로 생각했고 블랙홀이라는 사실은 몰랐다.

왜 이 블랙홀이 수십 년 주기로 밝게 빛나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이 블랙홀은 2015년 밤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X선 천체 중 하나였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가능한 모든 관측기기를 통해서 이 블랙홀을 관측했다. 수십 년에 한 번뿐인 기회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존재가 알려진 블랙홀 가운데 V404 Cygni가 지구에서 세 번째로 가까운 위치에 있다. 따라서 관측 가능한 거리에 있는 블랙홀의 활동을 포착한 드문 기회였던 셈이다. 

과학자들은 이 블랙홀 주변에서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나오는 제트의 존재를 확인했다. 물질을 공급하는 동반성은 6.5일을 주기로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블랙홀 주변을 공전하고 있는데, 이미 많은 질량을 블랙홀로부터 빼앗긴 상태로 보인다.

참고로 동반성 주변에 과거 지구 같은 행성이 있더라도 영화 '인터스텔라'처럼 사람이 생존할 수 있는 행성은 더는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초신성 폭발에서 요행 살아남았다 해도 이후에는 블랙홀의 중력에 의해 빨려 들어가는 운명을 피할 길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이 행성의 잔해들이 블랙홀로 빨려 들어간다면 마지막 순간에는 영화처럼 시간이 느려지는 순간을 경험했을 것이다.

비록 영화처럼 초자연적인 존재는 아니지만, 블랙홀은 분명히 실제로 존재하는 천체이고 우리 은하에도 여럿 존재한다. 과학자들은 이번 관측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해서 새로운 사실을 대거 발견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2
    • 글자 크기
댓글 3

댓글 달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216 자연 코끼리 발의 비밀7 title: 썬구리강남이강남콩 1409 0
215 자연 코끼리 장례, 매장하는 모습 최초 발견..."이런 매장은 처음" title: 팝콘팽귄닮은살걀 168 0
214 IT 코닥이 개발한 스마트폰3 title: 그랜드마스터 딱2개ILOVEMUSIC 1260 0
213 과학 코딩할때 코드를 '짠다'라는 말을 하는 이유2 백상아리예술대상 309 2
212 과학 코로나19에 주식 10% 내다팔았지만...'스페이스 드림'은 계속된다3 포이에마 209 2
211 자연 코로나가 오히려 동물에게는 축복인 이유4 도비는자유에오 507 3
210 자연 코로나보다 무섭다…동아프리카 집어삼키는 공포의 메뚜기떼2 yohji 311 1
209 자연 코알라의 진실4 도네이션 374 1
208 과학 코카콜라 기술력3 앙김옥희 1567 3
207 과학 콜라와 제로콜라 가열을 해보았다 ?!2 title: 그랜드마스터 딱2개ILOVEMUSIC 481 0
206 기계 쿠팡 6천만원짜리 공장용 김밥 기계.jpg4 첵스초코링 496 1
205 IT 크롬, 8년만에 로고 변경2 쥬시쿨피스 338 0
204 기계 클로킹 기술을 선보이는 러시아 수호이572 Orange 795 1
203 키와 유전2 레드크리스탈 354 0
202 역사 타이타닉에선 절대로 죽지않는 여자5 title: 썬구리강남이강남콩 1537 1
201 우주 타임지 선정 2016 올해의 우주 사진2 금강촹퐈 523 2
200 자연 탈모 상식2 앙기모찌주는나무 873 0
199 기계 탑건 초저공비행 촬영 가능했던 이유5 title: 보노보노아무리생강캐도난마늘 7971 1
198 역사 탕수육으로 보는 조선 붕당정치의 이해2 마발이 196 1
197 자연 태국에서 발견된 기묘한 심해어2 금강촹퐈 1081 2
첨부 (2)
SSI_20151112133650_V.jpg
104.3KB / Download 5
SSI_20151112134204_V.jpg
90.9KB / Download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