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덤게시물 단축키 : [F2]유머랜덤 [F4]공포랜덤 [F8]전체랜덤 [F9]찐한짤랜덤

역사

상처투성이 불교 그림 어떻게 되살렸을까?

친절한석이2021.04.09 05:53조회 수 432추천 수 2댓글 5

  • 8
    • 글자 크기











‘상처투성이’ 불화(佛畵), 어떻게 되살렸을까? / KBS 2021.04.08.

https://youtu.be/SoIy5lMUXoo


300년 세월을 거치면서 상처투성이로 변한 18세기 불교 그림 두 점이 

정교한 복원 작업 끝에 옛 모습을 되찾았습니다.

벽에 걸지도 못할 정도로 손상이 심했다는데, 어떻게 되살려 냈을까요?

[리포트]

18세기 초에 그려진 송광사 오십삼불도.

53명의 부처를 묘사한 그림 7점 가운데 '칠불도'입니다.

당시 그림 그리는 승려로 유명했던 의겸스님이 주도하고, 송광사 승려들이 대거 참여해 그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8세기 불화의 제작 특징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인 이 유물.

불과 1년 전까지만 해도 상처투성이였습니다.

1970년대에 엉터리로 보수해 안료는 잘못 칠해졌고, 앞뒤로 붙인 합판에서 유해가스가 나와 손상을 가속한 겁니다.

보존 처리 끝에 마구잡이로 덧댄 직물과 안료를 벗겨내고,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박지선/용인대 문화재학과 교수 : "똑같은 재질을 찾는 데 굉장히 애를 썼고요 

그런 다음에 한올 한올 없어진 부분을 메워내는 데도 메움 작업하는 것도 쉽지 않았습니다."]

부처의 법도를 따르는 신들을 형상화한 18세기 말 불교 그림 '제석천룡도'는 상처가 더 깊었습니다.

곳곳이 꺾이고 갈라져 조각과 안료들이 떨어져 나갔고, 인물들의 형체조차 알아보기 힘들 정도였습니다.

[박지선/용인대 문화재학과 교수 : "족자임에도 불구하고 걸 수가 없을 정도로 손상이 심했습니다. 

제가 40년 동안 보존 처리했는데 본 중에 가장 심한 그림이었어요."]

하지만 보존 과정을 거치면서 정교한 선으로 표현된 얼굴과 금속 장식이 또렷하게 되살아났습니다.

문화재로 지정이 안 돼 있어 관심 밖에 놓인 채 소외돼 온 유물들입니다.

[탄탄스님/불교중앙박물관 관장 : "모두 국보나 보물에 준하는 높은 가치가 있음에도 

당시 보존 상태는 매우 열악한 상태였습니다. 

/멸실 직전의 모진 위기에서 벗어나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였습니다."]

세심한 복원 작업을 통해 옛 모습을 되찾은 조선 불화 두 점은 이제 원래의 자리, 송광사와 쌍계사로 돌아갑니다.



친절한석이 (비회원)
  • 8
    • 글자 크기
150년형 선고받은 '72조 금융사기범' 메이도프 감옥서 자연사 ,,, (by yohji) 남한과 북한의 글이 통하는 이유 (by 사나미나)
댓글 5

댓글 달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283 역사 1972년 베이징2 Z9소년 345 0
282 역사 70~80년대 아파트 모습..4 샤방사ㄴr 357 1
281 역사 1920년대 휴대용 네비3 한마루 331 1
280 역사 태풍에 부러진 500년 거목의 최후3 제미니 434 2
279 역사 조선시대 왕의 ㅅㅅ 생활 .JPG7 샌프란시스코 649 3
278 역사 조선시대 무과 시험 수준9 사니다 534 3
277 역사 옛날에 집집마다 있었다고 하는것7 Onepic 384 1
276 역사 11년의 세월이 바꿔 놓은 서울 풍경2 일체유심조 231 0
275 역사 조선시대가 지옥인 이유 ㄷㄷ3 마발이 574 0
274 역사 옛날 가정집 흔한 풍경..3 샤방사ㄴr 207 1
273 역사 중국이 16년째 공개하지 않는 발해 황후의 묘3 사나미나 260 2
272 역사 *1959년 옛날 문학 서적.JPG3 prisen 430 1
271 역사 필름 카메라로 찍은 90년대 아이돌.jpg4 뚝형 572 4
270 역사 * 고구려 백제 신라는 같은 민족 아니고, 언어도 안 통했다?5 prisen 756 2
269 역사 150년형 선고받은 '72조 금융사기범' 메이도프 감옥서 자연사 ,,,6 yohji 335 1
역사 상처투성이 불교 그림 어떻게 되살렸을까?5 친절한석이 432 2
267 역사 남한과 북한의 글이 통하는 이유2 사나미나 262 3
266 역사 3천고려군 : 40만 마리 똥파리2 prisen 301 1
265 역사 임진왜란의 진짜 주인공7 UNDSG 665 3
264 역사 태종 이방원의 잘 알려지지 않은 업적5 UNDSG 544 1
첨부 (8)
52626116179144280.jpg
312.8KB / Download 6
52626116179144281.jpg
271.8KB / Download 6
52626116179144282.jpg
275.5KB / Download 5
52626116179144283.jpg
282.0KB / Download 7
52626116179144284.jpg
206.6KB / Download 5
52626116179144285.jpg
287.4KB / Download 9
52626116179144286.jpg
310.1KB / Download 5
52626116179144287.jpg
278.1KB / Download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