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덤게시물 단축키 : [F2]유머랜덤 [F4]공포랜덤 [F8]전체랜덤 [F9]찐한짤랜덤

미스테리

미확인 생물체 로드

미숫가루2015.02.11 14:43조회 수 1788추천 수 1댓글 2

  • 6
    • 글자 크기


 

'로드'가 뭘까?

 

 

 미국에서 찍은 로드 


 

네이브네티즌의 로드에 대한 생각 


UFO, 미스터리 써클(외국의 밑밭에 난 거대한 원형 자국) 등에
이어 최근 떠오른 미지의

존재는 '미확인 비행 생물체'를 뜻하는 '로드'(rod , 막대기라는 뜻)이다. 


'로드'는 그동안 세계적으로도 3-4 차례만 카메라에 포착됐을 뿐이며 같은 지역에서
이번처럼 여러 차례 목격된 경우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학계의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로드는 미국에서 7, 8년 전 처음 촬영된 후 일본에 동호회가 생겼을 정도로
선풍적 관심을 끈 존재다

 

로드 3차원 그래픽 사진


 

 1.  로드의 특징

외계인이 탑승한 UFO라고 보기엔 크기가 작고
(수㎝~수㎙), 날개는 환경에 적응하도록 진화했음을 시사한다는
것이 추종자들의 주장이다.

그러나 속도가 빨라 육안으론 전혀 보이지 않는다.
0.2~0.3초만 찍혀 느리게 재생할 때만 볼 수 있다.

비행 속도는 초속 3~4㎞.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떤 생물체보다 빠르다.

 

2. 우리나라의 예

    충주시 봉방동 한전 충주지점
상공 오른쪽 위에서 왼쪽 밑으로 이동하는 막대 모양의 비행물체를 촬영했다.

길이 30-40㎝의 둥근막대 모양에
나선형 날개가 달린 이 물체는

초속1㎞가량의 빠른속도로 이동,
카메라에 1.5초 가량 촬영됐으나

조류등 생명체는 아닌것으로 보이며 꼬리나 머리 부분은 없었다.

<그외>  :   충북 충주에서도 막대 모양의 미확인 비행물체(UFO)의 하나인 '로드(rod)'가
                2001년 5월 2일 오후 1시경

김동진(31) 기자도 1주일 전인 지난달 26일 오후 1시께 교현동
시립도서관 상공에서
형태와 날개 모양, 비행 속도 등이 같은 비행물체를 촬영했다. 

지난달 9일에는 충주와 직선거리로 20㎞ 가량 떨어진 강원도
원주시 귀래면에서 포착
'크기나 모양 등으로 미뤄 같은 물체로 추정되며 몸통에 돌기가
붙은 채 회전하는 방식으로
날아가 '로드'로 추정


4일 오후 MBC TV 프로그램 '화제집중'은 여의도에서 의도적 촬영을
시도하던 중 의외의 장면에서 사람 옷깃을 스쳐간 로드를 포착, 방송했다.

4월엔 한국케이블TV 원주방송이 폐농가에서 6개 날개가 선명하게
빛나는 로드를 촬영, 언론에 보도됐다. .


3.  로드의 영면성

로드를 '생물체'로 추정하는 이유는
날개가 있다는 점이다.

또 날갯짓으로 비행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하면서 비행하는 것도 생물체에서 볼 수 없는 특이한 현상이다.

 

장애물을 의도적으로 피해가고 교외에서 주로 발견되는 등 생물체로
추정할 만한 근거가 많다. 

날개생리학적으로 이만한 속도를 낼 수 있는 근육은 불가능하다.

또 회전비행을 한다면 굳이 날개는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4.로드는 단순한 자연의 조화

생물학계에선 UFO와 마찬가지로 큰 가치를 부여하지 않고 있다.
먼저 그렇게 흔하게 보이는 생물체가 한번도 표본채집되지 않은
사실이 의문스럽다는 것이다.

속도는 더 큰 문제다. 날개생리학적으로 이만한 속도를 낼 수 있는 근육은
불가능하다.
또 회전비행을 한다면 굳이 날개는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5.  외계 생명체

만약 외계의 생물체라면 지구와는 전혀 다른 환경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전혀 다른 형태로
진화했으리라는 것이 학계의 시각이다.

외계인이 탑승한 UFO라고 보기엔 크기가 작고(수㎝~수㎙), 날개는 환경에
적응하도록 진화했음을 시사한다는 것이 추종자들의 주장이다. 

 

6.  미확인 미행체

속도가 빨라 육안으보이지 않는다. 
0.2~0.3초만 찍혀 느리게 재생할 때만 볼 수 있다. 비행 속도는 초속 3~4㎞.
지구상에 존재하는 어떤 생물체보다 빠르다. 또 날갯짓으로 비행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하면서

비행하는 것도 생물체에서 볼 수 없는 특이한 현상이다.

 그리구 제 생각에는 옵저버(스타유닛)그런것일것같습니다 한마디로 지구생물체를

탐구하러 온 감시카메라같은거 물론 제생각입니다만 생물체라면
에너지가 끈임없이 있어야하는데 로드는
어는 종교관계자나 과학자도 닥부러지는 답을 제공하고 있지 못합니다.

물론 판단은 개인의 몫이지요^^

아래는 인증된 로드 사진 중 하나 입니다.
참고 하세요

 

 


멕시코에서 동굴에서 찍은 사진

7.   로드에 대한 부정적 시각

로드.. 아주 빠른 속도로 날고..또 직각에 가깝게.. 턴?을 한다고 하더군요..
그런데 블랙박스에서는.. 그것을 날파리로 해석하는것 같더군요..
(실제로 블랙박스에서는 그것이 무엇이다라고는 정의 내리지 않았습니다만..
거의 이것은.. 날파리다..라고 생각하게 만들더군요..)

우선 로드가 찍히는 것이.. 항상 카메라입니다.. 비디오 카메라..
먼.. 풍경(?)을 찍고 있는 카메라 가까이로.. 무언가가 지나가면..
아주 빠른 속도로 지나가는것 처럼 보인다구 하더군요.

(멀리 보는데 바로 앞을 휙 지나 가면.. 카메라에서는
저쪽 멀리 보이는 풍경을 가로 질러 가는것 처럼 보이기때문입니다..)
그리고 날파리들은 90도가 넘게 커브(?)를 틀수 있다고.. 그렇게 정의 내렸고..
또한 로드가.. 불규칙한 모양으로 날개가 붙어있는 것은..

로드를 보기 위해.. 비디오 카메라를 느린 재생으로 보기때문이라고 하더군요..
(실제로 블랙박스에서.. 날파리를 생각한것처럼 날리고 찍었을때..똑같이 찍혔습니다)
로드라는것이.. 아직 무엇인지 밝혀지지도 않았고.. 또한 어쩌면 없는
것일수도 있겠습니다..

 

-->하루살이든, 나방이든. 모든 날벌레는 '로드'가 될 수 있는겁니다.
날벌레의 속도는 아주 빠르죠. 그렇게 진화를 해왔으니까요.
보통카메라와 캠코더 같은 것들이 이 날벌레들을 찍으면
잔상때문에 '로드'의 형체가 된다는 군요.
사실은 아주 짧고 작은 한마리의 날벌레 인데도,
사진을 보면 길고 물결모양의 날개가 있는 괴생명체로 보이는 겁니다.<---

 

8.  로드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

로드는 전세계적으로 발견되는 미확인생명체로써
보통 일반적으로 인간이 초당

인식할수  있는 프레임은 16프레임...
그러나 로드는 초당 1Km..최고속도 3km의 속도로 날아다닌다고 하니
인간의 눈으로는 인식이 불가능 합니다.
우리나라 원주에서도 발견된적이 있는데 초당 32프레임짜리
카메라에 단 2컷만 찍혔는데 속도를 계산해보니 초속 2km..

-->지구 우주선이 지구 대기권을 벗어나기위한
속력이 초속 700임을 감안한다면 상상밖의 속도<-- 

 

워낙움직임이 빨라 육안으로 발견할순 없다구하네요.
 한쪽에서는 로느의 존재를 카메라로 찍을때...다른물질때문에
찍히는것이라고 부정하는사람도있습니다.

흔히들 UFO 는 외게에서온 우주선등으로 생각합니다....
로드는같은 UFO(미확인 비행물체) 이지만 보통 지구 상에
아직 확인 돼지 않은 생물체가 아닌가하구 생각하고 있습니다..

 

 

 

http://community-2.webtv.net/JamesB1955/EntityRodsPSCA2000/사진 출처

 


네이버 백과 사전에는

미확인비행물체인 UFO, 영국의 밀밭 등에서 발견되는 의문의 거대한
원형 자국인 미스터리 서클 등에 이어 등장한 미지의
존재로,
미확인
비행 생물체로 불린다. '로드(rod)'는 막대기라는 뜻으로,
비행 생물체의 모양이 막대기처럼 생겼다는 뜻에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1990년대 초 미국에서 처음 촬영된 이후 세계 각지에서 발견되었는데,
일본에서는 로드 동호회까지 생길 정도로 관심을 끌었다.
비행물체를 생물체로 보는 이유는 날개가 있다는 점인데,
이 로드의 추종자들은 로드의
날개환경에 적응하도록 진화했다고 주장한다.

UFO보다는 크기가 훨씬 작아 수㎝에서 수m에 불과하지만,
비행 속도
아주 빨라 초속 3~4㎞에 달하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전혀 볼 수 없다.
특히 날갯짓으로
비행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하면서 비행한다는 점에서 다른 생물체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2001년 5월, 한국에서도 이 로드의
존재가 촬영되었지만, 생물학계에서는
이 생물체가 한번도
표본 채집되지 않았다는 사실, 날개 생리학적으로
볼 때 도저히 이러한
속도를 낼 수 없다는 점, 또 회전비행을 하게
되면
날개가 없어도 된다는 점 등을 들어 이 로드가 생물체라

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출처:http://blog.naver.com/solhanna/80000500525


미숫가루 (비회원)
  • 6
    • 글자 크기
냉혹한 초고대 터널의 미스터리 (by 도네이션) 이집트 피라미드 ‘건축 미스터리’, 정말 이렇게 했을까! (by 미스테리난노해)
댓글 2

댓글 달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686 미스테리 해결된 미스테리, 메리 셀레스트호 사건 2 test 1801 2
685 미스테리 여기 '마귀굴'이란 존재에 대해 들어보신 분 계신가요?5 title: 하트햄찌녀 1801 2
684 미스테리 냉혹한 초고대 터널의 미스터리6 도네이션 1789 2
미스테리 미확인 생물체 로드2 미숫가루 1788 1
682 미스테리 이집트 피라미드 ‘건축 미스터리’, 정말 이렇게 했을까! 미스테리난노해 1786 0
681 미스테리 [미스테리]인간의뇌(액체가 되버린뇌) 3편 2 와우장인 1786 2
680 미스테리 중국 미스테리호수, 세계미스테리 사건들 신비쟁이 1784 0
679 미스테리 죽음을 피해 4,000마일을 도망친 남자3 title: 연예인1오바쟁이 1779 1
678 미스테리 그림속의 UFO 헤이미스테리 1776 0
677 미스테리 미스테리 로어 모음 42 title: 고양이3망고오렌지 1774 2
676 미스테리 미스테리 뉴질랜드 엄청난 크기 고래 발견 1 하이모발모발 1771 0
675 미스테리 네이버 질문자들의 생사가 미스테리 아리가리똥 1771 1
674 미스테리 [미스테리] 인디고 아이들 1 미숫테리 1770 0
673 미스테리 토리노 수의 미스터리1 title: 그랜드마스터 딱2개ILOVEMUSIC 1768 2
672 미스테리 토요 미스테리 극장-영화 촬영중 귀신에 시달린 감독1 title: 투츠키7엉덩일흔드록봐 1764 2
671 미스테리 12탄 실제미스테리석구,실제소름돋이야기1 형슈뉴 1761 1
670 미스테리 풀리지 않는 오파츠. 남극 대륙 지도.2 title: 썬구리강남이강남콩 1761 0
669 미스테리 토크쇼에 나온 유령 붙은(?) 인형,,6 title: 양포켓몬자연보호 1756 0
668 미스테리 카메라에 담긴 미스테리한 생명체 10선.2015ver3 title: 연예인13발기찬하루 1755 3
667 미스테리 - 한국 역사속 미스테리 - 미숫갈후 1752 1
첨부 (6)
KKkY6ag.jpg
2.4KB / Download 3
yNPRLIT.jpg
4.4KB / Download 4
sznAjOQ.jpg
1.7KB / Download 2
87WmC30.jpg
30.8KB / Download 1
D4mPtJ5.jpg
25.6KB / Download 2
EpAUF1T.jpg
24.4KB / Download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