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덤게시물 단축키 : [F2]유머랜덤 [F4]공포랜덤 [F8]전체랜덤 [F9]찐한짤랜덤

미스테리

칠레 대지진 후 나타나는 귀신

title: 하트햄찌녀2020.06.09 17:47조회 수 2409추천 수 3댓글 3

  • 2
    • 글자 크기


20200609_174521.png

20200609_174536.png

 

대지진이 발생한 칠레에 귀신이 목격되기 시작했다.

1960년 5월 22일 오후 3시 11분.

칠레 남부 해안가에서 규모 9.5의 지진으로 세계 최고 규모의 지진이 발생해

해안에서 높이 25m의 쓰나미가 발생했고 909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2010년 아이티 대지진에 이어 2월 27일 ,

칠레에서 규모8.8의 초강진이 발생했고,

700명 이상의 사망자 피해를 냈다.

그리고 2015년 9월 16일 8시경 ,

칠레 산티아고 북쪽 이야펠 시 부근에서 규모 8.3의 강진이 발생해

사망자 15명 , 실종자 6명의 피해를 냈다.

 칠레는 영토 전체가 환태평양 지진대 지역이라 크고 작은 지진과 화산폭발이 일본만큼이나 자주 발생한다.

그런데 칠레의 한 뉴스 매체에서 대지진이 발생해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죽은 장소에서는

밤마다 귀신들이 나타나서 주민들이 공포에 떨고 있다는 뉴스를 보도 한적이 있다.

귀신이 자주 목격되는 장소는 지난 2월 27일,

30명이 한꺼번에 목숨을 잃은 산티아고 남쪽으로 30km 떨어진 해변 도시인

콘스티투시온의 카르데날 라울 실바 헨리퀘즈 다리다.

이곳은 밤마다 그림자처럼 보이는 반투명의 귀신들이 다리를 건너는 행동을 반복한다.

이에 주민들은 억울하게 숨진 지진 피해자 영혼들이 자신들의 시신을 찾아 묻어달라고 호소한다고 주장했다.

당시 다리 복구공사를 하고 있던 인부들은 귀신 출몰 지점 가까이만 가면

휴대폰이 먹통이 되거나 고장이 난다고 했다.

또한 사람들이 죽은 지역에서 밤마다 어른과 어린이들 우는 소리가 들려 잠을 설치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심리학자 리카르도 피규에로아는 주민들이 스트레스를 많이받아 겪는 정신병의 일종이라며

대참사가 발생한 지역에서 많이 나타나는 증상이라 주장했다.

칠레에서 계속 목격되는 귀신 소동들은 정신병의 의한 해프닝인지 아직도 의문이다.



햄지

  • 2
    • 글자 크기
댓글 3

댓글 달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11090 실화 밤 늦은 산길에서 겪었던 이야기 클라우드9 2848 0
11089 실화 영주에서 살면서 겪었던 실화1 클라우드9 3183 0
11088 실화 신내림 보러 갔다가 경험했던 일 클라우드9 3570 0
11087 실화 고양이도 영혼이 있나요?란 글을 읽고 일화 클라우드9 3156 0
11086 실화 무당 집안 아들이었던 후임에게 들은 몇 가지 이야기1 클라우드9 4626 0
11085 혐오 (약혐)방송 이후 고양이들에게 벌어진 일 .jpg1 천마신공 1412 0
11084 실화 저도 오랜만에 레알루다가 무서운 이야기 하나 가위왕핑킹 2011 0
11083 실화 군대에서 겪은일1 가위왕핑킹 2094 0
11082 실화 지하철에서 만난 기묘한 할아버지 이야기 가위왕핑킹 2174 0
11081 실화 오늘은 진짜 공포 이야기..자살 후 친구 2명을 데려간 아이 가위왕핑킹 2382 0
11080 실화 갑자기 생각난 가위썰1 가위왕핑킹 1447 0
11079 실화 밤길에 맞닥뜨린 사람이 아닌 것1 가위왕핑킹 2102 0
11078 실화 친구 여동생 글에 달린 오유 댓글 가위왕핑킹 3137 0
11077 실화 잘 아는 무속인분과 평범한 썰 2 한량이 2251 0
11076 실화 잘 아는 무속인분과 평범한 썰 3 한량이 1989 0
11075 실화 잘 아는 무속인분과 평범한 썰 4 한량이 2009 0
11074 실화 잘 아는 무속인분과 평범한 썰 5 한량이 1938 0
11073 실화 잘 아는 무속인분과 평범한 썰 6 한량이 2074 0
11072 실화 방배동에서 생긴 일 완결 가위왕핑킹 960 0
11071 실화 방배동에서 생긴 일 8 가위왕핑킹 1295 0
첨부 (2)
20200609_174521.png
321.5KB / Download 9
20200609_174536.png
233.0KB / Download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