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덤게시물 단축키 : [F2]유머랜덤 [F4]공포랜덤 [F8]전체랜덤 [F9]찐한짤랜덤

취업 절벽에 갇힌 20대…"잃어버린 세대 가능성"

오렌지커피2021.01.14 09:20조회 수 147추천 수 1댓글 2

    • 글자 크기


취업 절벽에 갇힌 20대…"잃어버린 세대 가능성"



코로나발 고용 빙하기 장기화…취업 연기·단념 급증




코로나 19  여파로 청년층의 취업 절벽이 심화하면서 이들이 '잃어버린 세대'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

국가의 미래를 짊어질 청년층의 취업 빙하기가 장기화하면 취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 지식, 경험을 쌓을 기회를 잃게 됨으로써 평생에 걸쳐 삶이 어려워지고, 국가에 부담으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들의 취업난을 국가가 전력을 기울여야 할 현안으로 인식하고 청년층 고용대책을 총체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코로나발 고용절벽  20 대가 최대 피해자 14 일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청년층( 15 29 세) 연간 실업률은  9.0 %로 전체실업률( 4.0 %)보다는 크게 높지만, 전년 대비로는  0.1 %포인트 상승해 별로 악화하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잠재적인 취업 가능자와 구직자, 시간제 일자리 취업 가능자 등에 실업자를 합한 청년층의 체감실업률인 확장실업률은 작년  12 월  26 %로 전년 같은 달보다  5.2 %포인트, 모든 연령대 평균 확장실업률( 14.6 %)보다는  11.4 %포인트 각각 높았다.

작년 말 현재 확장 실업 상태에 있는 청년층은 모두  122 만3천명으로 전년  12 월( 100 만1천명)에 비해  21 만3천명이나 불어났다.

특히 코로나 19  국면에서  20 대가 가장 심각한 충격을 받았다. 작년 한 해 청년층 경제활동참가율은  46.4 %로 전년보다  1.4 %포인트 감소했으나  20 29 세 구간에서는 전년 대비  2.7 %포인트,  25 29 세 구간만 보면  3.0 %포인트나 줄었다. 이는  30 대( -0.6 %포인트)와  40 대( -1.1 %포인트),  50 대( -0.8 %포인트)와 비교해 3배 정도 높은 수준이다. 경제활동인구는 실제로 취업해 일하는 노동자와 일할 의사를 갖고 구직활동을 했으나 취업을 하지 못한 실업자를 합한 것이다. 취업 여건 악화로 일할 의욕을 상실하거나 구직활동을 일시 접은 사람들이 늘면 경제활동참가율은 하락할 수밖에 없다.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그냥 쉰  20 대는  41 만5천명으로 전년 대비  25.2 %(8만4천명) 증가해  30 대의  18.8 %,  40 대의  23.4 %보다 높았다.  20 대의 '쉬었음' 인구는  2018 년  28 만3천명에서 2년 새  13 만2천명 증가했다.

그냥 쉰 이유로는 육아, 가사, 재학, 수강 등 다양하지만 이런 이유만으로 청년들의 '쉬었음'이 급증했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일자리 환경이 좋지 않자 구직 활동 자체를 미뤘을 가능성이 있다.






일본의 '잃어버린 세대' 재판 우려 고등학교나 대학교를 갓 졸업한 연령대가 포함된  20 대의 취업 절벽은 자칫 이들이 과거 일본이 경험한 '잃어버린 세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하다.

일본은 부동산·증시 버블 붕괴기인  1990 년대 초중반부터  10 여 년간 청년층이 극심한 취업난을 겪었다. 이들은 제대로 된 일자리를 찾지 못한 채 대거 저임금 비정규직 노동자로 전락하거나 장기간 실업 상태로 남으면서 뒤처진 세대가 됐고 오늘날까지 일본 사회의 짐이 되고 있다.

LG 경제연구원 조영무 연구위원은 "청년층의 취업빙하기가 장기화하면 일본판 잃어버린 세대가 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 이들이 기술과 지식, 경험 등을 축적하지 못한 채 나이가 들면 경쟁력이 떨어져 저임금의 질 낮은 일자리에 머물거나 잦은 실업을 겪게 되고 이는 평생 상흔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국개발연구원( KDI )은 작년 5월 '청년 고용의 현황 및 정책제언'보고서에서 첫 취업이 1년 늦을 경우 같은 연령의 근로자에 비해 향후  10 년 동안 임금이 연평균 4∼8% 낮아지는 것으로 추정했다.

KDI 의 한요셉 연구위원은 당시 보고서에서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가 청년층 고용에 미친 부정적 영향은  10 년 이상 갔으며, 평생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조사됐다"고 했다.

성태윤 연대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최근 몇 년간 제도변화로 많이 늘어난 노동비용과 노동 경직성으로 기업들이 고용을 늘리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이 문제를 탄력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면서 "재정 투입도 신기술로의 산업 전환에 맞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LG 경제연구원 조 연구위원은 "정책 당국이 단기 청년 일자리를 늘리려는 것도 이해는 하지만 숫자는 적더라도 질 좋은 일자리 창출에 더 신경 써야 하며, 청년들이 취업 기회를 잡았을 때 이력서에 써넣을 수 있는 직무 경험을 쌓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12138926&isYeonhapFlash=Y&rc=N



오렌지커피 (비회원)
    • 글자 크기
댓글 2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4062 3월03일 오전 dsp미디어 입장2 title: 아이돌미션임파선염 147 1
4061 김히어라, 묵묵히 연기 이어간 이유 있었다… ‘학폭 논란’ 종결3 title: 시바~견밤놀죠아 213 1
4060 100분토론 방청객 수준2 title: 연예인1오바쟁이 469 1
4059 입소문 타고 원곡 + 리메이크곡 둘다 순위가 오르고 있는 OST2 title: 시바~견밤놀죠아 121 1
4058 25년째 아무도 못깨고 있는 세계신기록.gif5 닭강정 153 1
4057 19금 토렌트 다운로드 저작권 고소한 부부1 솔라시도 145 1
4056 미쳐 돌아가게 된 올여름 날씨 title: 이뻥태조샷건 112 1
4055 "조선·동아일보 기자들, 스스로 부끄러움 느껴야 한다"2 aurumn 5544 1
4054 日스가 간판정책 디지털 개혁 이끌 '디지털청' 공식 출범3 Goauld 147 1
4053 오펜하이머 형제 이야기 - 프랭크 오펜하이머의 업적1 솔라시도 911 1
4052 조선족이라고 불러도 되나요?.jpg2 xopeee 148 1
4051 불장난하다 집태워 먹을뻔 함.gif4 레알유머 170 1
4050 여친 때린 30대,집으로 출동한 경찰에…마약까지 딱 걸려 / 국민일보3 민초마니아 148 1
4049 [펌] 일본이 한국에 타격 줄 수 있었을 기회2 사나미나 147 1
4048 삼성일가 상속세 납부 위한 계열사 주식 매각3 포이에마 201 1
4047 초등학교 여교사, "너희 엄마 이제 고아네?"5 title: 유벤댕댕도이치휠레 274 1
4046 부산항 조직폭력배들 하는 짓3 샤샤샤 5079 1
4045 매년 10만명이 실종되는 나라3 익명_44dc87 340 1
4044 산이 '여혐 논란' SBS 8시 뉴스2 title: 유벤댕댕도이치휠레 184 1
4043 경기도관광공사 이사회 의장 페이스북.3 포이에마 314 1
첨부 (0)